HMM, 해운 불황 속 수익전략의 교본

🚢 해운시장의 변곡점, 불확실성 속 HMM 실적이 주는 물류 전략의 시사점

2025년 3분기, 글로벌 해운사 HMM은 매출 2조7064억원, 영업이익 2968억원을 기록하며 11%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년 동기 대비 52% 하락했는데, 이와 같은 운임 급락에도 불구하고 HMM은 강한 수익성을 증명해 냈다. 치열한 운임 경쟁과 지속되는 공급과잉, 미·중 무역갈등 속에서 이뤄낸 성과는 단순한 선사 경영 실적을 넘어 물류 업계의 운영 전략 방향성을 재정의하고 있다.

🧭 운임 하락의 시대, 수익성 중심의 항로 운영 전략

2025년 3분기 SCFI는 평균 1481p로, 전년 대비 급락한 수치다. 이는 미·중 무역 긴장의 심화로 미주 노선 화물 수요가 빠르게 위축된 데 따른 결과다. 특히 해상운임은 미 서안 69%, 동안 63%가량 하락하며 주요 항로가 수익 구조에서 매우 불안정해졌다.

HMM은 이런 환경 변화에 대응해 항로별 기항지 및 선박 투입 최적화 전략을 가동 중이다. 단순히 정기 운항을 고수하기보다는, 수익성과 효율성 위주로 항로를 재배치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해운운송업이 '선대 전략에서 수익 중심 노선 전략'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과정임을 의미한다.

이 전략은 내륙 운송과 연결되는 중간 하역, 리드타임 관리까지 영향을 미친다. 해운과 내륙 운송 간의 연계 최적화를 노리는 기업이라면, 운송자산 활용의 유연화와 노선 수익 분석 기반 스케줄링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 고부가가치 화물 확보와 수익 방어 기술

운임 하락 국면에서 HMM은 냉동·특수 화물 중심의 영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일반 벌크화물 대비 높은 운임 단가와 안정적인 계약 비중으로 수익을 방어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이다. 글로벌 공급망 진단 보고서인 McKinsey의 ‘포스트 팬데믹 항만 전략’ 또한 “고부가가치 화물을 수용 가능한 운송·보관 통합 역량 확보가 장기 생존 키워드”라고 명시한다.

국내 물류기업 역시 내륙 복합운송이나 풀필먼트 센터 운영 시 온도·습도 민감 화물 대응용 설비 투자와 운영 매뉴얼 확보를 통해, 고마진 화물 수요에 대비해야 할 시점이다.

📉 비수기 시즌과 공급망 리스크 대응의 시사점

올해 4분기부터는 전통적인 해운 비수기와 맞물려, 미국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한 불안정성이 지속될 전망이다. 글로벌 SC 운영자들은 이 같은 정책 불확실성을 ‘운송단가-납기 리스크’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송 모드 다변화, 탄력적 계약 체결, 카고 우선순위 설정 기준 재조정 등이 핵심 대응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HMM이 보여준 순익 방어 사례 또한, 단기 시장 변동성 대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 수요예측과 계약 포트폴리오 재평가의 중요성을 방증한다.

💡 현장 실무자가 실천 가능한 전략 요약

  • 글로벌 노선별 운임 변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대체 항공/내륙 운송 수단과 연계하여 탄력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운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공급과잉, 운임 하락 시기에는 일반화물이 아닌, 온도 민감성, 중량화물, 특수화물 등 고수익 품목 중심 라인업 확보로 수익 체질 개선을 겨냥하라.
  • 정기 노선 고집보다는 시장성 기반 노선 구조 재분석, 고객 요청 기반 맞춤형 운송 서비스 개발이 경쟁력의 핵심이다.
  • ESG나 탄소 감축 압력 증가에 대비해, 향후 선사와의 협업에서 무탄소추진기술 연계 물류 전환 로드맵을 사전 검토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HMM의 실적은 단순 ‘실적 발표’가 아니라, 혼란기 속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가 어떻게 생존과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략적 교본이다. 한국 물류업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있어 반드시 참고해야 할 실사례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