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애프톤 케미컬, 물류 혁신 이끄는 연료첨가제
애프톤 케미컬, 물류 혁신 이끄는 연료첨가제

애프톤 케미컬, 물류 혁신 이끄는 연료첨가제

연료첨가제가 물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GDI 엔진 시대와 운송 전략의 진화

최근 애프톤 케미컬(Afton Chemical)이 발표한 연료 성능 첨가제 ‘HiTEC® 65522’ 시리즈의 출시와 TOP TIER+™ 연료 기준의 개정은 일반 소비자를 넘어 대규모 물류 및 운송 업계 전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첨단 엔진 기술의 발전과 함께, 연료의 품질과 성능은 전체 운송 시스템의 TCO(Total Cost of Ownership), 운송수단의 수명 주기, 환경 규제 대응력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GDI(직분사) 엔진의 대세화와 연료 기술의 전환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북미 지역에서 신규 차량의 74%가 GDI 엔진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상용차나 화물 운송에 활용되는 저배기량 고효율 차량에서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GDI 엔진은 연료 효율성과 출력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인젝터 침전물과 조기 점화(Stochastic Pre-Ignition, SPI) 같은 고질적 문제가 동반된다.

이에 따라 GM을 포함한 주요 완성차 OEM들은 기존 ‘TOP TIER™’ 연료 기준을 초과하는 ‘TOP TIER+™’ 기준을 도입했다. 여기에는 LHU 엔진 기반 인젝터 테스트와 SPI 시험이 포함돼, 연료 첨가제 수준의 정교함과 지속적 성능 유지가 요구된다. 애프톤 케미컬의 HiTEC® 65522는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는 ‘차세대 연료 첨가제’의 대표적 사례다.

운송 사업자의 관점에서 이는 단순한 기술 업그레이드를 넘어 에너지 비용, 차량 유지비, 법규 리스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연료 성능이 공급망 운영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

물류 현장에서의 연료 품질 문제는 실시간 배송 지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특히 화물차 운행 중 엔진 출력 저하나 연료 시스템 문제는 고속도로 정체를 유발하고 배송 SLA(Service Level Agreement) 달성률 저하로 직결된다.

TOP TIER+™ 기준에 적합한 연료를 사용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누릴 수 있다.

  • 연료 인젝터의 장기적 청결 유지로 출력 저하 방지
  • SPI 방지로 인한 엔진 수명 연장 및 다운타임 감소
  • 연비 유지율 향상으로 운송단가 절감
  • 최신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친환경 운송체계 구축

이는 결과적으로 풀필먼트 배송 압박 하에 운행 중단이 용납되지 않는 라스트마일 배송기업이나 택배차량 운영사에게 필수적 전략 요인이 될 수 있다.

차세대 연료 첨가제 도입과 ESG 물류 전략의 연결고리

2025년 이후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요구에 따라 디젤/가솔린 차량의 CO2 배출 문제를 의제로 부상시키고 있다. 친환경 차량으로의 전환이 장기적 대안이긴 하지만, 기존 내연기관차량의 운행 최적화 또한 단기 탄소 감축 수단으로 주목받는다.

HiTEC® 65522와 같은 고성능 연료 첨가제는 엔진의 불완전 연소를 억제하고, 미세먼지 및 NOx 배출을 저감해 ‘기술 기반의 친환경 운송’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DHL, UPS 등 글로벌 운송기업들은 이미 연료 품질 개선을 공급망 탄소절감 전략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국내 대형 유통물류 기업들도 유사한 접근이 필요하다.

현장 적용을 위한 실행 전략

연료 유형이 다양한 운송 차량군을 운영 중인 기업이나 물류 스타트업은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1. Fleet별 연료사용 데이터 정밀 추적: 인젝터 침전물 관련 문제 이력, 연비 격차 등을 기반으로 차량 유형별 연료 피드백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2. 첨가제 기반 연료공급사와의 전략적 제휴: TOP TIER+™ 기준을 충족하는 연료 공급 계약을 검토하거나, 연간 단가 협상 시 연료 성능 항목을 포함시킨다.
  3. 신차 도입 시 엔진 유형 기준 확대: GDI 또는 다운사이징 터보 차량이 포함될 경우, 연료 품질 기준을 구매 스펙의 주요 항목으로 설정한다.
  4. 지속가능보고서 기준 반영: 연비 유지 및 배출가스 저감에 따른 ESG 성과를 대외적으로 명확히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 물류 산업에 필요한 혁신은 복잡한 센서 기반 자동화만이 아닌, 기초적인 '연료 품질 관리'와 '에너지 비용 최적화'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출발한다. 장기적으로 자율주행, 전기차 전환이 물류트렌드를 주도하겠지만, 단기적 ROI 확보를 원하는 운송 전략가라면 연료와 엔진의 궁합에 대한 기술적 이해가 경쟁력의 기반이 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