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태피툰, 북미 웹툰 굿즈의 감성 혁신
태피툰, 북미 웹툰 굿즈의 감성 혁신

태피툰, 북미 웹툰 굿즈의 감성 혁신

웹툰이 넘어선 선, 감성의 물질화 – 북미에서 빛나는 '굿즈'의 새로운 미학

한때 ‘읽는 콘텐츠’로만 여겨졌던 웹툰이 이제는 감각되고, 소장되며, 전시되는 문화로 진화하고 있다. 무형의 이야기가 형태를 지닌 물체로 환생할 때, 우리는 그것을 '굿즈'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굿즈는 단순한 기념품이 아닌, 디지털 시대의 서사적 실체로 기능하고 있다. 태피툰(Tappytoon)의 북미 문화 시장 진입은 그 상징적인 장면이다. 뉴욕에서 열린 세계적 애니메 박람회인 ‘Anime NYC 2025’ 현장은, 바로 웹툰이 글로벌 대중문화의 언어로 재해석되는 공간이었다.

굿즈, 디지털 감정의 실물화 선언

태피툰이 운영한 공식 굿즈샵 ‘클럽젬(Club JEM)’은 단지 팬 서비스의 의미를 넘었다. 킹스메이커, 이결어망 같은 인기 웹툰 캐릭터가 부채, 포토카드, 티셔츠, 카드홀더에 이르기까지 오브제로 승화된 이곳은 디지털 콘텐츠가 우리 손 안에서 체온을 갖게 되는 순간을 증명했다. 특히 한국 전통 감성이 가미된 ‘대나무 부채’는, 인종과 문화의 경계를 넘어 감성의 교집합을 이루는 증거가 되었다.

문화는 수출이 아니라 교감이다

콘텐츠는 결코 일방적이지 않다. 태피툰의 북미 팬 미팅과 작가 사인회는, 산업적 확장뿐 아니라 이야기 생산자와 수용자가 마주 보는 정서적 접점이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K-웹툰이나 콘텐츠 한류라는 말 뒤에는 이런 살아 있는 ‘감정의 교류’가 숨어 있다. 펭귄랜덤하우스와의 협업으로 탄생한 영문 단행본 '킹스메이커’ 역시 IP의 국적을 지우며 세계 문학 지형에 스며드는 한국 서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좋아함’에서 ‘가지고 싶음’으로 변하는 팬의 미학

이 시대의 팬은 더 이상 수동적 소비자가 아니다. 키치와 엽서, 책갈피 등 다양한 굿즈는 콘텐츠 세계를 능동적으로 재구성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랑을 소장하는 행위로 팬 문화를 확장시킨다. 웹툰은 이제 독자가 감상하는 ‘플랫폼’이자, 직접 ‘참여하는 텍스트’로 진화하고 있다. 그것은 곧 자기 서사의 창조 행위이기도 하다.

IP의 진화, 이야기는 플랫폼을 떠났고, 삶에 안착 중이다

콘텐츠퍼스트는 태피툰을 앞세워 원작 IP의 다각화를 실행하고 있다. 단행본, 영상, 게임, 굿즈까지 통합한 이 멀티 유니버스적 전략은, 웹툰이 더 이상 특정 매체에 묶이지 않고 현실이라는 좁은 테두리를 넘는 서사의 해방 기획임을 시사한다. 우리가 눈으로 읽던 이야기들이 손으로 잡히고, 일상 속으로 스며들기 시작한 것이다.

지금 우리는 무엇을 감각해야 할까

이제 웹툰은 단순한 콘텐츠가 아니라, 경험하고 교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활문화다. 굿즈 하나로 재단되기 어려운 감정의 무게를 직접 마주해보는 것, 그 안에서 내가 좋아하는 서사의 온도를 측정해보는 것은 어떨까. 오늘 당신의 책상 위에 놓일 하나의 굿즈는 단지 팬심의 상징이 아니라, 당신의 문화적 취향과 정체성을 말하는 작은 언어가 될 수 있다.

거대한 디지털 파도 위에서, 감정이 실물화되는 이 작은 진동에 귀를 기울여보자. 내가 사랑했던 이야기가 물건으로, 삶으로, 그리고 나 자신을 향한 말 걸기로 돌아오고 있다. 지금, 당신은 어떤 이야기를 손에 쥐고 싶은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