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공간 차량화재 대응, 물류안전의 사각지대를 메우다 – 이동식 화재진압기술의 실무전략
지하주차장, 물류시설, 대형 빌딩 하역장 등 복합 공간은 물류 운송의 핵심 접점이면서도 재난 대응에 있어 취약 지점이다. 최근 지하공간에서 급증하고 있는 전기차 화재는 특히 초기 진압 난이도가 높아 물류 인프라 운영에 실질적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와 독성 연기, 확산성 높은 화염 등은 기존 소방체계만으론 감당하기 어렵다. 이런 배경에서 개발된 이동식 진압장치 '워터가드'는 전통적인 화재 대응 전략을 보완하는 새로운 실용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 전기차 화재 대응, 물류현장의 긴급 리스크를 공략하다
글로벌 전기차 보급 가속화는 물류운송 인프라에도 구조적 적응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EV 기반 콜드체인, 라스트마일 배송 등에서 지하차고와 밀접한 배송환경이 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큰 폭발과 화염 확산으로 인한 초기 진압 실패는 물류차량의 대규모 손실, 서비스 중단, 고객 신뢰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워터가드’는 카트형 이동식 진압장치로 설계돼, 지하공간에서도 단독 활동이 가능, 전문 소방인력 없이도 민간 인력이 안전하게 초기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상부 듀얼 노즐 소화수 분사로 인접 차량 연소 확산 차단, 하부 배터리를 겨냥한 강력한 분사로 전기차 열폭주 억제가 가능하다. 이는 기존 소화포나 고정식 시스템을 보완하며, 무인 대응체계의 전환 가능성까지 제시한다.
📍 무인 방수·신속 이동 – 스마트 물류시설에 최적화된 설계
스마트 물류창고와 지하 하역장 등에서는 자동화 장비와 창고형 구조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소방 접근성이 떨어진다. 워터가드는 자립식 구조의 장시간 무인 방수 가능성으로 대피와 화재 대응을 병행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실용 강점이다. 또한 이동식 플랫폼으로 좁은 통로, 곡선 진입로 등 복잡 지형에 유연히 대응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스마트 안전 인프라 확대 정책과도 부합하는 형태로, 장기적으로는 화재관리 프로토콜 내 비전문 인력을 위한 대응 매뉴얼화 및 장비 표준화까지 연계될 수 있다. 특히 대형 복합물류센터, 공동주택 배송센터 등 인적관리 의존도가 높은 민간 현장에 AI 연계 방재시스템으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성 높은 전략이다.
📉 ESG 관점의 물류 위기관리 – 장비보다 중요한 대응 체계의 변화
2025년까지 국내 주요 물류기업 다수가 ESG 기반 공급망 관리체계 구축에 돌입했다. 물류부문의 재난·안전 대응 체계 고도화는 "환경·안전 리스크" 기준에서 평가되고 있으며, 지하공간 전기차 화재와 같은 고위험군 사전 대응력 확보는 기업 평판과 보험 리스크 최소화에 직접 연결된다.
‘워터가드’가 제공하는 기술적 장점 외에도 중요한 것은 이 같은 장비의 도입을 포함해 화재 발생 전·중·후 단계의 시나리오형 매뉴얼 통합 운영체계 구축이다. 즉 진압장비, 차량 배치, 물류 동선, 피난 시나리오가 통합된 SOP 구조를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대응 경쟁력 핵심이다.
📌 요약 및 실무 적용 전략
- 지하 물류 거점에서는 고위험 EV·운송차량 화재를 전제로 한 이동형·무인형 안전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 민간 인력이 즉시 대응 가능한 조작성, 열폭주 차단 기술, 자동 무인방수 기능은 초기 대응 실패를 줄이는 핵심 기능이다.
- 물류전략 수립 시, 소화설비 및 대응장비 도입은 개별 대응이 아닌 SCM 안전운영 계획과 통합 설계가 요구된다.
- ESG·보험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규제 대응 장비표준 인증 획득과 SOP 기반 운용 프로세스 고도화는 필수이다.
‘빠른 배송’보다 ‘지속가능한 배송’이 중요한 시대, 소형 이송 장비인 ‘워터가드’는 물류 안전 시스템 혁신의 단초가 될 수 있다. 지금 물류현장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복합리스크를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무형 전략이다.